반찬쇼케이스 냉동고 구매 후기 350만원 비싸지만 이쁘다.. 넘나 이쁨

이준형's avatar
Oct 28, 2025
반찬쇼케이스 냉동고 구매 후기 350만원 비싸지만 이쁘다.. 넘나 이쁨

새벽 장 보기를 마치고 가게 문을 열었습니다. 오늘도 첫 일은 쇼케이스 점검입니다. 전원을 넣고 내부 팬 소리가 안정되는 걸 확인한 뒤, 새로 들인 냉동고쇼케이스에 냉동 생선과 육수 베이스를 채워 넣었습니다.

설치 주소는 소래로 565. 매장 특성상 점심 피크에 문 여닫음이 많아 냉기 회복이 빠른 장비가 필요했습니다.

이전 장비는 문을 서너 번만 열어도 –10℃대까지 금세 올라가 다시 내려오질 않았고, 재결빙이 생겨 품질 클레임이 이어졌죠.

그래서 이번에는 규격 750×760×2000, 선반 5단, 백색 조명, 목표온도 –20℃인 스탠드형을 선택했습니다. 결과부터 말하면, 첫 주부터 작업 흐름이 바뀌었습니다.

  1. 구매 전 고민과 비교


    기존 장비의 문제는 셋입니다.


    첫째, 냉기 불균형. 상단은 꽁꽁, 하단은 미지근해 박스 재배치를 하루에도 몇 번씩 했습니다.


    둘째, 시야와 동선. 내부가 어두워 재고 확인을 하려면 문을 열어봐야 했고, 그 과정에 온도는 더 올랐습니다


    셋째, 전기요금. 여름철엔 압축기가 거의 내내 돌아 월 요금이 과했습니다.

여러 제품을 비교하며 현장에 맞게 설명해 주는 곳을 찾았습니다. 설치 후기, A/S 응답, 부품 수급 경로를 중심으로 비교했고, 최종적으로 한성의 냉동고쇼케이스로 정했습니다.

”전국에 사례가 많으면 그만큼 문제 대응도 빠르다”는 판단이었습니다.

  1. 설치 과정
    출고 후 기사님 1인 배송으로 도착. 출입구 턱은 보호재를 깔아 통과시켰고, 바닥이 살짝 기울어 수평 받침을 추가했습니다. 처음 잡은 자리는 벽 배출 간격이 모자라 약 20cm 뒤로 물렸습니다.

    빈 상태로 약 30분 예열하며 기본 컨디션을 확인했고, 선반 간격을 박스 규격에 맞춰 재세팅했습니다. “장비 성능 반, 세팅 반”이라는 말을 그날 제대로 체감했습니다.

  2. 첫 주 사용 후기


    목표 온도 도달: 투입 후 40~50분 내 –20℃ 근접, 다음날부터 –20℃ 안정 유지.


    문 개방 후 회복: 점심 피크에 3~4회 연속 개방 시 –16℃까지 올라갔다가 10분 내 –18℃대, 20분 내 –20℃로 복귀(외기 30℃ 기준).


    조명·시인성: 백색 조명이라 육류·생선 색 구분이 선명, “열어보기 전에 확인”이 가능해 불필요한 개방이 줄었습니다.


    수납 동선: 5단 선반으로 상단은 원재료, 중단은 반조리, 하단은 예비 물량으로 고정. 재고 찾는 시간이 체감상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전기요금 체감: 계량기 촬영 비교 기준, 주간 평균 사용량이 이전 대비 약 25~30% 감소. 여름철 부담이 확실히 줄었습니다.

  3. 장점


    온도 안정성: –20℃ 목표 도달과 복귀가 빠릅니다. 재결빙 자국이 거의 사라져 품질 컴플레인이 줄었습니다.


    작업 효율: 선반 탈부착이 쉬워 메뉴별 바구니 운영이 가능. 피크에 필요한 박스만 허리 높이에 두니 허리 굽히는 횟수가 줄었습니다.


    시야·청결: 유리 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이 선명해, 점검이 빨라지고 개방 횟수가 감소. 내부 코너가 단차가 적어 주 1회 전체 세척 10분 내외로 마감합니다.
    표준 부품: 패킹·손잡이·선반 등 소모품 규격이 표준이라 교체 난도가 낮습니다.

  4. 단점·아쉬운 점


    설치 별도: 본사 기준이 1인 배송이라 설치·수평 조절은 매장 책임입니다. 수평계와 받침을 준비하지 않았다면 고생했을 겁니다.


    리드타임: 주문에서 현장까지 약 2주. 오픈·리뉴얼 일정이 촉박하면 일정 조율이 빡빡합니다.


    피크 개방 시 성능 저하: 문을 연속으로 열면 –16℃대까지 오릅니다. 이건 어떤 냉동고쇼케이스도 물리적으로 피하기 어렵고, 개방 시간 단축·보냉박스 보조로 운영에서 보완해야 합니다.


    외측 관리: 여름철 습한 날엔 유리 외측에 잠깐 김서림이 생깁니다. 마감 청소 루틴에 유리 닦기 한 줄이 더해졌습니다.


    초기 비용: 보급형 대비 높은 편. 다만 전기 사용량 절감, 폐기 손실 감소, 작업 속도 향상으로 월 총비용이 실제로 줄어드는 구조라는 점은 확인했습니다.

  5. 운영 팁


    수평 먼저: 자리를 잡고 반드시 수평부터 맞추세요. 문 닫힘과 패킹 밀착이 성능의 절반입니다.


    개방 전략: 점심 피크엔 자주 꺼내는 품목을 허리~가슴 높이에, 덜 쓰는 예비분은 상·하단으로.


    빈 공간 채우기: 상자 사이 빈칸에는 스페이서(빈 바구니)를 넣어 냉기 흐름을 고르게 유지합니다.


    간격 확보: 뒤판과 벽 10cm 이상 띄워 열 배출을 원활히 하면 소음과 소비전력이 안정됩니다.


    기록 습관: 문 개방 횟수·시간대를 사흘만 기록해 세팅을 잡으면 체감이 큽니다.

냉동고쇼케이스를 바꿨다고 해서 매출이 자동으로 오르진 않습니다.

하지만 온도 복귀가 빠르고, 닫힌 상태에서도 안이 잘 보이니 불필요한 개방이 줄고, 작업 동선이 매끈해집니다.

그 결과 폐기·손실이 줄고, 피크 시간 스트레스가 눈에 띄게 낮아졌습니다.

설치까지 기다림이 있었고(약 2주), 수평 맞춤과 선반 세팅에 초반 손이 좀 갔다는 단점도 분명합니다.

그래도 소래로 565 이 매장에서는 “바꿀 이유와 결과가 명확했다”는 결론입니다. 냉동 재료를 많이 쓰는 업장이라면, 장비 스펙만 보지 말고 개방 패턴·동선·열 배출 간격까지 함께 설계하세요.

같은 냉동고쇼케이스라도 운영에 맞춘 세팅이 성능의 반을 좌우합니다.

Share article

대한민국 냉장쇼케이스 점유율 1위 브랜드 한성쇼케이스 블로그